본문 바로가기
경제

채권의 종류 및 특징 - (3) 이자 지급 방법 (이표채, 할인채, 복리채)

by 김물주 2023. 8. 13.
반응형

채권-종류-특징-이자-지급-방법-이표채-할인채-복리채

 

오늘은 채권 종류 5가지③이자 지급 방법에 따른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전에 다룬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2023.08.09 - [경제] - 채권의 종류 및 특징 - (1) 발행 주체 (국채, 지방채, 특수채, 금융채, 회사채)

 

채권의 종류 및 특징 - (1) 발행 주체 (국채, 지방채, 특수채, 금융채, 회사채)

이번 주제는 채권의 종류입니다. 채권은 ①발행주체, ②상환기간, ③이자 지급 방식, ④모집 방법, ⑤보증 유무에 따라 나눌 수 있습니다. 각 채권의 개념과 종류별 특징을 파악하고 있으면 나에

kimlandlord.tistory.com

2023.08.12 - [경제] - 채권의 종류 및 특징 - (2) 상환 기간 (단기채, 중기채, 장기채)

 

채권의 종류 및 특징 - (2) 상환 기간 (단기채, 중기채, 장기채)

오늘은 채권의 종류 5가지 중 ②상환 기간에 따른 종류를 알아보겠습니다. 첫 번째 종류인 발행주체에 따른 종류는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2023.08.09 - [경제] - 채권의 종류 및 특징 - (1)

kimlandlord.tistory.com

 

 

 

 

이자지급 방법에 따른 종류

 

1. 이표채

과거 채권의 권면에 있는 이표(이자지급 교부표)를 지급처에 제시하고 이자를 지급받아 이표채라 불리는 채권입니다.

물론 요즘은 정해진 이자지급일마다 계좌로 이자가 지급됩니다.

 

이표채는 권면에 표기된 액면가로 발행되며 표면이율에 따른 한 해 이자를 일정한 기간으로 나누어 받고 만기에 원금과 마지막 이자를 함께 받습니다. 주기적인 이자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현금흐름이 발생하는 채권입니다.

 

국고채, 대부분의 회사채 등이 이표채에 해당합니다.

 

2. 할인채

할인채는 과거에 정기적으로 이자를 지급받을 수 있는 '이표' 없이 발행되었으며 이 때문에 무이표채라고도 불립니다.

 

할인채는 이표채와는 반대로 권면에 표기된 액면가에서 할인된 금액으로 발행되고 정기적인 이자를 지급하지 않는 채권입니다.

채권 액면가에서 만기 시까지 지급하기로 설정된 이자만큼 할인한 금액으로 발행되며, 만기 시 액면가로 상환됩니다.

따라서 발행가격과 액면가격의 차이만큼의 이자를 미리 지급받는 효과가 있습니다.

 

지급돼야 할 미래의 이자만큼 채권 액면가에서 할인한 금액으로 발행되기 때문에 최초 투자 원금이 작아지는 이점이 있습니다.

작아진 투자 원금만큼 다른 채권에 투자할 여력이 생기는 장점이 있지만 현금흐름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통화안정증권, 산업금융채권을 비롯한 대부분의 금융채 등이 할인채에 해당합니다.

 

3. 복리채

이자를 지급 기간 동안 분할지급하지 않고, 이자를 원금에 가산하여 복리로 재투자해서 만기 시에 원금과 이자를 동시에 지급하는 채권입니다. 쉽게 말해 원금과 이자에 대해서 이자를 주는 채권입니다.

 

채권 매입 시 만기 시의 원리금이 확정되어 재투자에 대한 위험이 없는 것이 장점입니다. 복리채 역시 정기적으로 이자를 지급하는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현금흐름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장기 투자할 경우 반드시 복리채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국민주택 1종채권, 국민주택 2종채권, 지역개발채권 등이 복리채에 해당합니다.

 

 

위 내용을 간략하게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채권명 특징 장단점 종류
이표채 액면가 발행 / 정기적인 이자 지급
만기시 원금과 마지막 이자 지급
현금 흐름이 발생하는 장점 국고채,
대부분의 회사채 등
할인채 할인된 금액 발행 / 이자 미리 지급 효과
만기시 액면가 상환
최초 투자금 작아지는 장점
현금 흐름이 발생하지 않는 단점
통화안정증권,
대부분의 금융채 등
복리채 이자 분할 지급 없음 /  복리이자 지급
만기시 원금과 이자 지급
복리 재투자에 대한 위험이 없는 장점
현금 흐름이 발생하지 않는 단점
국민주택채권,
지역개발채권 등

 

채권의 종류를 다양하게 배워감에 따라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으나, 그만큼 시장 상황이나 나의 성향에 맞는 투자 상품을 고를 수 있는 선택지가 많아지는 것이라 생각한다면 하나하나 배워가는 것이 그리 어렵게 느껴지진 않으실 겁니다.

 

주식이나 예적금 상품에 비해 채권이라는 상품이 대중적이지 않은 것은 사실이지만 공부할수록 반드시 알아야 하는 투자상품 중 하나라는 생각이 듭니다.

 

다음 게시글은 모집방법에 따른 채권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